본문 바로가기

당좌예금2

📚 재무제표 작성과정 완전정복: 시산표부터 결산수정분개까지! 안녕하세요, 일잘러 여러분! 😄 오늘은 1년 동안의 회계기록을 마무리하고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과정, 즉 결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결산은 마치 퍼즐 조각을 맞추듯 여러 회계자료를 정리하고 검증해 나가는 과정이에요.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한 첫걸음인 셈이죠! 결산과정에서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바로 시산표인데요. 시산표는 1년 동안의 모든 거래를 총계정원장에 기록한 결과를 요약한 표에요. 시산표를 통해 회계기록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오류를 찾아낼 수 있죠. 시산표는 합계시산표, 잔액시산표, 합계잔액시산표의 세 가지 형태가 있어요.🧾 시산표의 종류종류설명합계시산표각 계정과목별로 차변과 대변의 합계액만 표시잔액시산표각 계정과목별로 차변과 대변의 차액(잔액)만 표시합계잔액시산표합계와 잔액을 모두 표.. 2024. 5. 20.
우리 회사 돈, 당장 쓸 수 있는 자산은? 유동자산 파헤치기 🔍 안녕하세요, 여러분! 회계 친구 일잘냥입니다😺 오늘은 우리 회사 자산 중에서도 '유동자산'에 대해 깊이 살펴보려고 해요. 유동자산이 뭐냐고요? 필요할 때 바로 꺼내 쓸 수 있는, 현금처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자산을 말해요. 회사에 위기가 닥쳤을 때 제일 먼저 동원되는 녀석들이랍니다! 우선 유동자산 중에서도 왕좌에 앉아있는 건 단연 '현금'이에요💸 회사 금고에 있는 돈, 통장 잔고뿐만 아니라 수표나 어음처럼 언제든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것들도 현금의 범주에 들어가요. 이런 현금의 입출금 내역은 현금출납장이라는 장부에 빠짐없이 기록된답니다. 교통비나 식대처럼 잔돈이 오갈 때는 일일이 장부에 적기 귀찮으니 '소액현금'으로 따로 관리하기도 해요. 회사가 거래처에 돈을 지급할 때 많이 쓰는 방법이 '.. 2024.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