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익잉여금2

주주를 위한 선물, 현금배당의 매력 지난 시간엔 자본의 구성 요소와 특징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이번엔 기업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자본 항목인 이익잉여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이익잉여금의 처분, 그중에서도 현금배당에 초점을 맞출 거예요. 일잘냥과 함께 배당의 매력에 빠져 보시죠!😻이익잉여금, 기업이 털어 먹을 수 있는 돈이익잉여금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이 쌓인 것으로, 미처분이익잉여금과 적립금으로 구분돼요. 미처분이익잉여금은 아직 사용 용도가 정해지지 않은 이익잉여금이고, 적립금은 특정 목적을 위해 積立해 둔 이익잉여금을 말합니다.구분설명법정적립금상법 등에 의해 적립이 강제되는 적립금 (이익준비금 등)임의적립금정관이나 주주총회 결의로 적립하는 적립금 (사업확장적립금, 결손보전적립금 등)재미있는 건 이익잉여금의 규모가 커질수.. 2024. 5. 18.
주주 입장에서 바라본 기업 자본의 이해 안녕하세요, 일잘러 여러분!😸 오늘은 재무상태표 구성요소 중 '자본'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려고 해요. 부채가 남의 돈이라면, 자본은 주주가 회사에 투자한 돈이랍니다. 자본이 어떻게 구성되고 회계 처리되는지 같이 알아볼까요?자본의 구성 요소자본은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어요. 이 다섯 가지가 바로 대분류 계정이죠.자본금자본잉여금자본조정기타포괄손익누계액이익잉여금이 중 자본금은 회사가 주식을 발행해 주주로부터 조달한 자금의 액면금액 총액을 말해요. 예를 들어 액면가 5,000원짜리 주식 1,000주를 발행했다면 자본금은 500만원이 되는 거죠.그런데 주식발행 시 조달한 금액이 액면가보다 크면 '주식발행초과금'이, 작으면 '주식할인발행차금'이 발생해요. 이때 주식발행초과금은 자본잉여금으로, 주식할인발행.. 2024.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