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형자산2

🚀 회계결산 완벽 마스터: 유형·무형자산, 퇴직급여, 외화자산·부채 안녕하세요, 멋진 회계인 여러분! 연말결산의 중요한 순간이 다가오고 있죠? 😎 오늘은 유형자산, 무형자산, 퇴직급여충당금, 외화자산·부채 등 결산 시 빠뜨릴 수 없는 항목들의 회계처리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각 항목별 결산수정분개의 개념과 사례를 확실히 이해하고, 완벽한 연말결산을 준비해 보세요!1. 유형자산의 결산정리유형자산은 재고자산과 달리 판매를 위한 것이 아니라 사업에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입니다. 이러한 유형자산은 사용기간 동안 그 가치가 감소하므로, 이를 체계적으로 비용 배분하는 감가상각이 필요합니다.유형자산 감가상각비 인식감가상각방법계산식정액법(취득원가 - 잔존가액) ÷ 내용연수정률법미상각잔액 × 상각률매 결산기마다 감가상각비를 인식하여 비용으로 계상하.. 2024. 5. 20.
무형자산과 투자자산, 어떻게 회계처리할까?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슬기로운 회사생활을 응원하는 일잘냥입니다😺 오늘은 무형자산과 투자자산의 회계처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유형자산과는 또 다른 매력을 가진 자산들이랍니다!무형자산, 만질 순 없지만 가치는 높아💡무형자산은 물리적 실체는 없지만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되는 자산이에요. 특허권, 상표권, 개발비 등이 여기에 속하죠.무형자산의 인식요건식별가능성 - 다른 자산과 구분되는 별도의 식별이 가능해야 함자원에 대한 통제 - 회사가 배타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함미래 경제적 효익 - 미래에 수익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영업권도 무형자산 중 하나영업권은 사업결합 시 발생하는 무형자산으로, 구매대가에서 식별가능한 순자산 공정가치를 뺀 금액을 말해요. 예를 들어 A사가 B사를 10.. 2024.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