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략,인사이트

오픈 이노베이션의 최신 트렌드와 성공 전략 : 일잘러를 위한 가이드

by 일잘냥 2024. 9. 13.
반응형

오픈 이노베이션의 최신 트렌드와 성공 전략 : 일잘러를 위한 가이드
오픈 이노베이션의 최신 트렌드와 성공 전략 : 일잘러를 위한 가이드

오픈 이노베이션은 기업의 혁신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실행에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오픈 이노베이션의 최신 트렌드와 성공 전략, 그리고 대기업이 직면한 도전 과제를 살펴봅니다. 일잘러 여러분, 함께 오픈 이노베이션의 세계로 들어가 볼까요?

오픈 이노베이션의 필요성 : "혁신하지 않는 기업은 죽는다"

버클리 하스 경영대학원의 헨리 첼스브로 교수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모든 혁신은 실패한다. 그리고 혁신하지 않는 기업들은 죽는다." 이 말은 혁신의 중요성과 어려움을 동시에 보여줍니다.

오픈 이노베이션이 중요해진 이유는 무엇일까요?

  1. 불확실성의 증가 : 수요와 기술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2. 기업 수명 주기의 단축 : Fortune 500 기업의 평균 수명이 61년에서 18년으로 줄어들었습니다.
  3. 내부 자원의 한계 : 기존 비즈니스 모델 변화를 위해 외부 자원 활용이 필요합니다.

오픈 이노베이션의 최신 트렌드

오픈 이노베이션의 최근 트렌드는 크게 6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중 주목해야 할 3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Accelerators : 내부 혁신의 가속화

  • 의미: 대기업 내부에 OI 전담 조직이 Accelerator 역할을 합니다.
  • 목적: 내부 혁신 조직을 세팅하고, 이를 분사 또는 신사업 기획의 원천으로 활용합니다.
  • 사례: 현대자동차그룹, 삼성전자의 사내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2. Co-Development: 외부와의 협력 개발

  • 의미: 외부 스타트업을 내부로 끌어들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합니다.
  • 방법: 파일럿 테스트나 PoC(Proof of Concept) 테스트를 통해 검증합니다.
  • 목적: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서비스와 제품을 고객에게 제안합니다.

3. Investment: 전략적 투자

  • 과거: 대규모 M&A를 통한 외부 자원 내부화
  • 현재: 소액 지분 투자나 JBP(Joint Development Project)를 통한 협력
  • 장점: 핵심 인재 유출 방지, 유연한 협력 가능

오픈 이노베이션 성공을 위한 5가지 원칙

  1. OI의 목표와 비전 설정
  2. 시장과 기술 트렌드 센싱
  3. 내부 조직원 참여 방안 마련
  4. OI 프로세스 구체화 및 적용
  5. 결과의 내재화 및 자산화

일잘러 팁: 여러분의 조직에서 이 5가지 원칙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 고민해보세요!

대기업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가로막는 요인들

1. 성과 평가 지표의 괴리

  • 문제점 : 기존 KPI를 OI 활동에 그대로 적용
  • 해결책 : OI 활동에 맞는 새로운 성과 지표 개발 필요
    • 예) OI를 통한 R&D 비중, 파일럿 테스트 건수, PoC에서 출시까지 소요 시간 등

2. OI의 비연속성과 현업 팀의 무관심

  • 문제점 : 잦은 인사이동으로 인한 OI 활동의 단절, 현업 팀의 참여 부족
  • 해결책
    • OI 전담 조직의 연속성 보장 (최소 2-3년)
    • 현업 팀의 KPI에 OI 활동 연계
    • Emotional Bonding 강화

3. OI 필요성에 대한 냉철한 판단 부족

  • 평가 지표: R&D 집중도, R&D 규모의 경제 효과, 외부 협력 필요성, 산업 간 적용성, 시장 변동성
  • 조언: 이 지표들이 높을수록 OI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맺으며 : 일잘러의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

오픈 이노베이션은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필수 전략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많은 도전 과제를 극복해야 합니다.

 

일잘러 여러분, 여러분의 조직에서 오픈 이노베이션을 어떻게 적용하고 계신가요? 성공 사례나 극복한 어려움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문화를 만들어 갑시다!

 

반응형